2016-04-17

[번역] 루멘의 등장, 테일러와 인터뷰

원문: https://laravel-news.com/2015/04/lumen/ 지난 2015년 4월 라라벨에서 루멘(lumen)이라는 경량 프레임워크 (micro-framework) 를 발표했다. 루멘은 경량 프레임워크 중에서도 후발 주자에 속하는 편이다. 대표적인 경량 프레임워크에는 2011년에 출시한 사일렉스(Silex)나 슬림(slim) 등이 있었다. 아무래도 루멘 제작자가 슬림이나 사일렉스를 사용해보고서 만든 프레임워크라서 비슷한 점이 많다. 그래서 가장 최근에 출시한 루멘에 대해서 알아봤다. 여타 프레임워크와 마찬가지로 단점보다는 장점이 더 많이 보이는 프레임워크다. 많은 장점 중 하나는 라라벨 계열이기 때문에 사용하다가 라라벨로 바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continue reading [번역] 루멘의 등장, 테일러와 인터뷰
Share This:    Facebook Twitter

리눅스 압축의 의미와 명령어/옵션, 업로드/다운로드 하기

멀리 여행을 간다고 생각해보자. 여행 가기 때문에 필요한 물품들이 많을 것이다. 옷가지는 압축 팩에 담아서 가방에 차곡차곡 쌓고 세면도구도 파우치에 넣어서 담고 기타 필요한 물품을 캐리어에 담는다. 여러 물품들을 하나의 캐리어에 담는 행위를 바로 '압축'이라고 한다. 윈도우즈에서는 압축이라는 한 단어로 정의할 수 있지만 리눅스에서는 크게 2가지 종류의 압축이 있다. 하나는 우리가 흔히 아는 용량을 줄여주는 '실제 압축', 또 하나는 여러 파일들을 한데 모아주는 '모음 압축'이다. '실제 압축' 같은 경우에는 옷가지를 압축팩에 담고 세면도구는 파우치에 담아서 캐리어에 차곡 차곡 넣는 행위이고 '모음 압축' 같은 경우에는 원하는 물품을 캐리어에 담기만 하는 것이다. 참고: '실제 압축'이나 '모음 압축'은...
continue reading 리눅스 압축의 의미와 명령어/옵션, 업로드/다운로드 하기
Share This:    Facebook Twitter

2016-03-23

리눅스, PHP 실행할 때 코드로 인자 (파라미터) 넘기기

리눅스에서 간단한 작업을 할 때 php 파일을 생성한 후에 그 파일을 실행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경우에 따라 조금 더 확장된 형태로 실행할 때 원하는 인자를 파일 안으로 전달해야할 경우가 있는데, 그럴때 아주 유용한 내용이 아닐까 싶다. 잊지 않고자 글로 남고 놓는다. 파일 실행할 때 리눅스 상에서 php 파일을 실행 할 때 인자를 지정하여 코드상으로 전달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전달할 수 있다. php {실행할 파일명}.php {전달할 변수1} {전달할 변수2} ... {전달할 변수n} 코드상에서 인자 받기 전달한 인자는 PHP 코드 상에서 $argc, $argv로 받을 수 있다. $argc는 인자의 개수, $argv는 인자의 내용을 가지고 있다. $_SERVER['argv']처럼 받을...
continue reading 리눅스, PHP 실행할 때 코드로 인자 (파라미터) 넘기기
Share This:    Facebook Twitter

2016-02-05

리눅스 vi, 한 페이지로 요약하는 간단 사용법

아주 먼 옛날(?) 리눅스를 처음 접했을 때 가장 먼저 vi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vi는 단순 텍스트 편집기일 뿐이지만 생각보다 깊이 있는 프로그램이며 지금까지도 뭇 프로그래머의 사랑을 받는 스테디 프로그램 중의 하나이다. 리눅스를 주 운영체제로 쓰고 있지는 않아서 내 손발처럼 다룰 수 있지는 않지만 맥북도 그렇고 웹서버 상에서 가끔 쓰일 일이 있다. 아무래도 사용 운영체제가 리눅스이기 때문에 단축키를 알아두면 사용하는 데 아주 유용하다. 본 내용은 과거에 기록해놓은 자료를 토대로 다시 정리하였다. vim (vi) vim는...
continue reading 리눅스 vi, 한 페이지로 요약하는 간단 사용법
Share This:    Facebook Twitter

2016-02-02

[번역] 왜 비밀번호보다 비밀문구가 더 친숙한가.

원문: UX Movement http://uxmovement.com/forms/why-passphrases-are-more-user-friendly-than-passwords/ 비밀번호와 보안에 관련된 기사를 번역한 글이다. 아무래도 내용상 우리나라 상황과는 맞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어느 정도 고려하고 읽어야 할 듯 싶다. 본 기사에서는 비밀번호 대신에 비밀문구를 쓰는 것을 권장한다. 이 비밀문구는 특수문자를 반드시 쓰지 않아도 길이가 길면 해킹 위험이 더 적다는 부분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사이트 대부분은 반드시 특수문자, 숫자, 영문을 섞어서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 부분을 우리나라에 맞게 생각해야 할 것 같다. 예를 들면, 비밀번호를 설정할 때 'thisisapple' 라는 문장을 이용하되...
continue reading [번역] 왜 비밀번호보다 비밀문구가 더 친숙한가.
Share This:    Facebook Twitter

2016-01-06

[번역] PDO 다시소개하기 – PHP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올바른 방법

원문: http://www.sitepoint.com/re-introducing-pdo-the-right-way-to-access-databases-in-php/ 본 내용은 PDO에 대해서 다시 소개한 글이다.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작업을 할 때 PDO를 사용하는 것이 얼마나 편리하고 안전한 방법인가에 대해서 초점을 맞춰서 설명하고 있다. 왜 mysql과 mysqli인가? 새 기술에 직면할 때 사람들이 확실히 묻는 질문이 있다, 왜 업그레이드를 해야 하는가? 이러한 새 기술이 그들의 전체 애플리케이션을 검토하고 새 라이브러리, 확장 기능, 어떤 것이든 모든 것을 전환하는 노력을 해 볼 만한 가치를 주는 것은 무엇인가? 이는 매우 타당한 관심사이다. 우리는 전에 이에 대해 어느 정도 작성했었지만...
continue reading [번역] PDO 다시소개하기 – PHP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올바른 방법
Share This:    Facebook Twitter

리눅스 사용자 관련 명령어 정리

우선 리눅스 옵션에 관련된 내용을 정리는 했지만 리눅스 도움말이 생각보다 잘 되어 있다. 옵션 도움말을 보고 싶다면 {명령어} --help 와 같은 방법으로 찾을 수도 있다. {} 대괄호는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는 값을 의미한다. useradd {옵션} {아이디} /etc/passwd 에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에 저장되는 정보를 열쇠글 형식이라고 부르는데 이 형식은 다음과 같이 저장된다. {계정명} : {패스워드} : {UID} : {GID} : {설명} : {홈 디렉터리} : {Shell} -c: 설명 입력 -d: 홈 디렉터리 지정 -e: 계정 만료일 지정 -f: 계정 유효일 지정 -g: 로그인 그룹 지정 -m: 홈 디렉터리 자동 생성 -M: 홈 디렉터리 자동 생성 금지 -p: 패스워드 지정 -s:...
continue reading 리눅스 사용자 관련 명령어 정리
Share This:    Facebook Twi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