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2-05

리눅스 vi, 한 페이지로 요약하는 간단 사용법

아주 먼 옛날(?) 리눅스를 처음 접했을 때 가장 먼저 vi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vi는 단순 텍스트 편집기일 뿐이지만 생각보다 깊이 있는 프로그램이며 지금까지도 뭇 프로그래머의 사랑을 받는 스테디 프로그램 중의 하나이다. 리눅스를 주 운영체제로 쓰고 있지는 않아서 내 손발처럼 다룰 수 있지는 않지만 맥북도 그렇고 웹서버 상에서 가끔 쓰일 일이 있다. 아무래도 사용 운영체제가 리눅스이기 때문에 단축키를 알아두면 사용하는 데 아주 유용하다. 본 내용은 과거에 기록해놓은 자료를 토대로 다시 정리하였다. vim (vi) vim는...
continue reading 리눅스 vi, 한 페이지로 요약하는 간단 사용법
Share This:    Facebook Twitter

2016-02-02

[번역] 왜 비밀번호보다 비밀문구가 더 친숙한가.

원문: UX Movement http://uxmovement.com/forms/why-passphrases-are-more-user-friendly-than-passwords/ 비밀번호와 보안에 관련된 기사를 번역한 글이다. 아무래도 내용상 우리나라 상황과는 맞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어느 정도 고려하고 읽어야 할 듯 싶다. 본 기사에서는 비밀번호 대신에 비밀문구를 쓰는 것을 권장한다. 이 비밀문구는 특수문자를 반드시 쓰지 않아도 길이가 길면 해킹 위험이 더 적다는 부분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사이트 대부분은 반드시 특수문자, 숫자, 영문을 섞어서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 부분을 우리나라에 맞게 생각해야 할 것 같다. 예를 들면, 비밀번호를 설정할 때 'thisisapple' 라는 문장을 이용하되...
continue reading [번역] 왜 비밀번호보다 비밀문구가 더 친숙한가.
Share This:    Facebook Twitter